흙을 밟으며 살다
윤구병 지음
지은이 소개
1943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1981년 충북대 철학과 교수가 되었고 1989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를 만들어 공동대표를 맡았다. 1983년 이오덕 선생의 권유로 대학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글쓰기연구회(지금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원이 되었다. 1988년 어린이에게 줄 좋은 책을 출판하려고 ‘보리기획(지금 보리출판사)’을 만들었다. 1995년 변산(전북 부안군)에 자리를 잡아 변산공동체학교를 꾸리고, 1996년 대학교수를 그만두고서 농사꾼으로 살기 시작했다. 2016년 ‘우리말글살리는겨레모임’에서 ‘우리 말글 으뜸 지킴이’로 뽑혔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실험 학교 이야기》《철학을 다시 쓴다》《내 생애 첫 우리말》《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특별 기고》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책 소개
함께하는 삶을 일군 윤구병의 공동체 이야기
― 《흙을 밟으며 살다》 내용 소개
《흙을 밟으며 살다》는 더불어 함께 사는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았다. 실천하는 삶을 살아온 그의 일상의 생각을 담은 글, 변산 공동체 생활 이야기를 담은 글, 나눔에 대한 생각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윤구병 자신이 더욱 갈망하는 공동체의 이미지를 상상하는 글을 ‘공존’이라는 주제로 엮은 책이다. 윤구병 선생은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즉 있을 것이 있고 없을 것이 없는 세상이 좋은 세상이라고 말한다.
가난하게 자란 아이들은 남의 도움이 없으면 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일찍부터 깨우친다. 나이 대여섯에 껌팔이로 길거리에 나서는 아이들도 가게에서 100원이면 사는 껌을 200원에 사주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하루 한 끼 수제비로나마 연명할 수 있음을 배운다. 있는 집에서 자란 아이들은 어떨까? 차이는 있겠지만, 남의 도움이 있어야 살 수 있다는 걸 체험을 통해서 절박하게 느껴볼 기회가 없기 때문에 머리가 여물도록 ‘나 잘나서 나 잘산다.’는 생각을 쉽사리 버릴 것 같지 않다.
가난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은 바로 ‘받아서 느끼는 고마움’이 ‘주어서 갚고자 하는’ 마음가짐으로 자라난다는 것이다. 어렵게 자라온 많은 뜻있는 청소년들이 흔히 ‘나중에 커서 성공하면 나처럼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돕겠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나중에야 어떻게 될망정 이 말에 스며 있는 진심은 퍽 소중한 것이라고 믿는다.
가난을 기리자는 뜻은 아니다. 그동안 있는 사람들 덕에 없이나마 살아남았으니 모름지기 가난한 사람은 모두 잘 사는 사람 앞에 머리를 조아리자는 뜻은 더더구나 아니다.……
사회가 총체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것, 대부분의 사람은 평생을 사는 동안 준 것보다 받은 것이 늘 더 많다는 것 …… 이 소박하면서도 근본적인 깨우침이 바로 가난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흙을 밟으며 살다》 79~80쪽, 〈조그마한 내 꿈 하나〉에서
[출판사 제공 책소개 중]